-
[TIL] 게임 특강TIL 2024. 5. 7. 21:02
게임 플랫폼 종류
PC, Console, 모바일, VR 등
게임 장르
RPG, FPS, RTS(Real Time Simulation) ex) 스타크래프트 , AOS(MOBA) ex) Lol
방치형, War Game 등게임 장르는 새로 생기고 파생되기도 한다.
프로젝트 종류
라이브 - 현재 서비스 중인 게임
신규
AAA - 개발비가 10억이상 들어간 게임
인디게임 회사 구조 (회사마다 조금씩 다르다)
디렉터(PD)
프로젝트 매니저 같은 느낌이다.
프로그래머
클라이언트: 프로그래머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.
서버: 주로 통신을 담당
엔진: 요즘은 Unity나 Unreal엔진을 주로 쓰지만 큰 회사 같은경우 직접 자체엔진을 사용하거나 기존 엔진을 뜯어서 사용하기도 한다.
플랫폼: 요즘은 잘 없다고한다. 듣기로는 클라이언트가 이 일을 같이 한다고 한다.
DBA: 잘 없다고 한다. 듣기로는 서버 프로그래머가 이 일을 같이한다고 한다.
기획
(개발자랑 주로 싸운다고)밸런스 :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한 기획을 주로 맡는다.
시스템 : 게임 시스템 기획
콘텐츠 : 콘텐츠 기획
시나리오 : 시나리오 기획
아트
캐릭터
배경
모델러
등..... 아트는 직군이 엄청 많다..
QA
사진상에서는 나뉘어져 있지만 하나로만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.
게임 제작 업무의 흐름
게임개발에 맨 마지막으로 작업을 받고 해야하는 직업이 클라이언트 개발자다.
클라이언트 개발자는 눈에보이는 기능을 만든다.(중요한 로직은 서버에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.)
개발하면서 중요한 요소
구글링 (검색을 잘해서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는게 좋다.)
응용력
설득력 -논리, 말빨, 고집 (기획자랑 싸워서 이겨야 한다더라)팀 프로젝트 발표가 끝나고 저녁에 게임쪽 업무에 대해 알려주신 특강에서 나온 내용을 대략 정리해 봤습니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Unity 강의 2 (0) 2024.05.09 [TIL] Unity 강의 1 (1) 2024.05.08 [TIL] 2024-05-03 팀 프로젝트 마무리 (0) 2024.05.03 [TIL]C# Json 리스트 저장 (0) 2024.05.02 [TIL] C# (얇은 복사 깊은 복사, Json 파일 이용하여 저장하기) (1) 2024.05.01